① 정신을 집중할 수
있고 환자가 개인적인 문제도 상의 할 수 있는 창문이 있는 밝고 조용한
장소가 치료환경으로서 적절하다.
② 환자에게 근육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고, 촉진하고 억제해야할 근육에
대해 설명해 준다.
③ 사진이나 비디오를 찍어 환자에게 좋아지고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치료사는
평가자료로 활용한다.
④ 공동운동이 나타나는 곳은 이완하도록 하고, 이완성인 경우에는 집단운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하지만 마비가 없는 부위에 공동운동이 나타나면 그만둔다.
⑤ EMG 신호를 보면서 환자가 안면근육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정확하게 촉진
또는 억제할 수 있으므로 sensory feedback 치료가 매우 유용해
진다. 만일 환자가 근육의 움직임을 스스로 보고 느낄 수 있다면 자각기술과
거울운동만으로도 재훈련이 가능하다.
⑥ 자각훈련과 거울운동은 기능이 약간만 회복되면 바로 실시하며 chronic
환자에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이것은 저긴장이나 저활동 근육뿐만 아니라 과긴장이나 과활동 근육에도 필요한
운동이다.
▶거울운동과
자각훈련의 시행방법
① 먼저 기능장애 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어떤 동작을 지시하기
전에 예비적인 설명을 충분히 해준다.
② 환자가 동작을 잘못 시행하면 정확하게 지적하여 주고, 가정에서 할 수
있도록 메모해 주며, 환자 스스로 메모해 준 내용을 보면서 정확하게 시행하도록
한다.
③ 안면 근육운동은 피로가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하도록 하며, 환자가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한다.
④ 운동을 잘못 시행하면 기능장애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인식시켜 주며, 횟수보다
정확하게 실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도 인식시켜 준다.
⑤ 눈감기 운동을 실시할 때는 안액이 부족하거나 점성이 없어져 각막의 손상이나
심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윤활제나 연고를 사용하도록 하며, 환자가
눈꺼풀이 닫히는 것과 동공만 굴러가는 것을 충분히 구별할 수 있는 훈련을
시킨다.
⑥ 자연적인 안면운동을 재교육하기 위해서 자연스러운 감정을 발생시키는 동안
수의적인 노력을 통하여 표정으로 연결 짓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슬픈 이야기를
들려주고 슬픈 표정을 짓는 연습을,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웃는 연습을
시키는 방법이 있다.
⑦ 말하기 연습을 실시 할 경우, 환자가 거울을 보면서 낱말을 천천히 발음하도록
한다.
⑧ Exercise (passive → active assistive →
active, 한 동작에 5∼10번 정도이며, 거울을 주어 보도록 한다.)
|